람다3 파이썬 훑어보기 5 - 함수 함수같은 내용의 코드를 여러 번 적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함수]를 사용합니다. 함수를 사용하면 입력값에 따른 차이만을 가지는 일관적인 코드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함수 선언파이썬에서 함수를 사용하려면 함수를 선언해야 합니다. 함수가 사용되었을 때 실행할 문장을 입력합니다. 이때 문장에서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f 함수명(매개변수1, 매개변수2, ...): 실행할 문장 return [return값] 매개변수는 함수 선언시 함수에서 사용할 입력값을 의미합니다. 함수를 사용할 때 소괄호(())안에 매개변수를 함께 전달합니다. 함수가 끝날 때 함수를 사용한 쪽에 반환해야 하는 값이 있다면 return 키워드 입력 후 return값을 입력해 줍니다. 반환해야 하는 값이 없을 때는 생략이 가능합니.. 2024. 12. 17. 코틀린 익히기 4 -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형 기능들을 사용해 변수의 사용을 최소화한 프로그래밍입니다. 코틀린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로, 함수를 사용해 간략하고 우아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습니다.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순수함수, 람다식, 고차함수를 다룹니다. 일단 코틀린에서 사용하는 함수의 문법부터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구현하는 방법까지 차근차근 알아가 보도록 합시다.함수 문법fun 함수명 ( 매개변수: 매개변수 타입, ... ): 반환타입 { ...} fun sum(a: Int, b: Int): Int { var sum = a + b return sum} 함수 코드 생략// {} 안의 코드가 한 줄일 경우 중괄호와 return문 생략 가능fun sum(a: Int, b: Int): Int .. 2023. 9. 20. 자바 쉽게 배우기 21 - 람다 잠시 쉬어가는 글로 람다에 대해서 설명드릴까 합니다. 사실 람다가 자바에 도입된 것은 jdk1.8부터(2014년)입니다. 비교적 최근에 추가된 것이죠. 람다가 도입되면서 객체 지향 언어인 자바가 함수형 언어로의 성격까지 갖게 되었습니다. ❓ 함수형 언어란 무엇인가요? 함수형 언어는 함수형 기능들을 사용해 변수의 사용을 최소화한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람다 람다가 무엇이기에 함수형 언어로의 성격을 더해준 것일까요? 람다란 메서드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람다를 사용하면 메서드를 간략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람다식을 매개변수로 전달하거나 메서드의 결과로 반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메서드를 람다식으로 변환하기 일반 메서드 반환타입 메서드명 (매개변수) { ... return .. 2023. 9. 18. 이전 1 다음